본문 바로가기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 총정리

건설근로자 퇴직금, 근무한 일수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퇴직공제금의 신청방법과 예상지급액까지!

by 미스틱메도우 2023. 5.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건설근로자 퇴직금에 대해 알아볼까 해요. 건설근로자 퇴직금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신청하고,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시죠? 저도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남편이 있어서 이 주제에 관심이 많아요. 그래서 공제회 홈페이지와 블로그 등을 찾아보고 정리해봤어요. 이 글을 보시면 건설근로자 퇴직금에 대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그럼 시작해볼까요?

1.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이란?

-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의 정의와 목적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이란, 건설업에서 퇴직할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으로, 건설현장에서 근로한 일수에 따라 적립된 공제부금에 이자를 더하여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일용·임시직 건설근로자의 퇴직생활 안정과 복지향상을 위해 만들어졌어요.

-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의 적립방법과 이자율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은 건설사업주가 공제회에 납부하는 공제부금으로 적립됩니다. 공제부금은 근로일수당 4천원으로 정해져 있어요. 예를 들어, 한 달에 20일 근무하면 8만원이 적립되는 거예요. 적립된 공제부금은 연 3%의 이자율로 계산되어 지급됩니다.

2.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을 받으려면?

-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의 신청자격과 퇴직사유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을 받으려면 252일 이상 근무하거나 65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퇴직사유가 있어야 합니다.

  • 자신이 독립하여 새로운 사업을 시작한 경우
  • 건설업 이외의 사업(제조업, 서비스업 등)에 고용된 경우
  • 기간의 정함이 없는 상용근로자로 고용된 경우
  • 부상이나 질병으로 건설업에 종사하지 못하게 된 경우
  • 기타 건설업에 더 이상 종사할 수 없는 사유가 있거나 종사할 의사가 없음을 입증하는 경우
  • 사망한 경우

-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의 신청방법과 구비서류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은 온라인, 직접 방문, 등기우편, 팩스, 이메일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에 따라 필요한 서류가 다르니 주의하세요. 다음은 신청방법별 구비서류입니다.

  • 온라인 이용 시: 휴대폰 본인인증, 공동인증서, 카카오페이를 통한 본인인증 / 퇴직사유별 구비서류 일체 (스캔본 또는 사진파일 첨부)
  • 직접 방문 신청 시: 신분증, 본인명의 통장 사본 / 퇴직사유별 구비서류 일체
  • 등기우편‧팩스‧이메일 신청 시: 퇴직공제금 지급신청서 / 신분증 사본 / 퇴직사유별 구비서류 일체
  • 우체국 (접수대행) 방문 시: 신분증 사본, 수령 받을 통장 사본 (단, ‘20.5.27.전 적립일수가 252일 미만이고, 만 65세 이상인 자에 한함)

3.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의 예상지급액은?

-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의 예상지급액 조회방법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의 예상지급액은 건설근로자 하나로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나의 정보조회' 메뉴에서 '퇴직공제' 탭을 클릭하면 됩니다. 예상지급액은 적립일수와 공제부금 잔액, 이자율 등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의 세금과 압류방지통장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은 소득세와 주민세가 공제됩니다. 세율은 연간 지급액에 따라 달라지며, 최대 42%까지 적용됩니다. 세액은 지출증빙서류를 제출하면 감면될 수 있습니다.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 수령계좌는 본인 명의의 입금 가능한 계좌만 가능합니다. 하지만 신용불량 등으로 본인계좌 이용이 어려울 경우, '압류방지통장' 사용이 가능합니다. 압류방지통장은 적립내역서를 발급한 후 취급 금융기관으로 방문하시면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 오늘은 건설근로자 퇴직금에 대해 알아봤어요. 이제 건설현장에서 근무한 일수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퇴직공제금의 신청방법과 예상지급액을 쉽게 알 수 있을 거예요. 건설근로자 퇴직공제금은 건설근로자의 퇴직생활 안정과 복지향상을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꼭 필요한 서류와 조건을 확인하고 신청해보세요. 그럼 오늘은 이만 안녕히 가세요. 다음에 또 만나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