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퇴사증명서 발급받기 쉽고 간편한 방법

by 미스틱메도우 2023. 6. 16.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퇴사증명서 발급받기 쉽고 간편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퇴사증명서는 퇴사한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로, 새로운 직장을 구하거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을 때 필요합니다. 하지만 퇴사증명서를 발급받는 과정이 복잡하거나 번거롭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런 경우에는 인터넷이나 전자민원으로 퇴사증명서를 쉽게 발급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퇴사증명서의 정의와 필요성, 퇴사증명서와 경력증명서의 차이점, 퇴사증명서를 발급받는 방법, 퇴사증명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퇴사증명서란 무엇인가?

  • 퇴사증명서의 정의와 필요성
    • 퇴사증명서란 근로자가 고용주와의 근로계약을 해지하고 회사를 떠난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퇴사증명서에는 근무기간, 직책, 직무내용 등의 정보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 퇴사증명서는 새로운 직장을 구할 때 이전 회사에서의 경력과 업무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또한 금융기관에서 대출이나 신용카드를 신청할 때 소득을 증명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그 외에도 여권이나 비자 발급, 장학금 신청, 보험 청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퇴사증명서와 경력증명서의 차이점
    • 퇴사증명서와 경력증명서는 비슷한 개념으로 혼동되기 쉽지만, 실제로는 다른 서류입니다. 퇴사증명서는 회사를 떠난 사실만을 증명하는 서류이고, 경력증명서는 회사에 재직하고 있는 사실 또는 재직했던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 퇴사증명서는 보통 한 회사에서만 발급받을 수 있지만, 경력증명서는 여러 회사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회사에서 3년간 근무하고 B회사로 이직한 경우, A회사에서는 퇴사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고, B회사에서는 경력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퇴사증명서와 경력증명서의 양식은 공통된 표준이 없고, 회사마다 다르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퇴사증명서에는 퇴사일자와 퇴사사유가 추가로 기재되고, 경력증명서에는 재직기간과 직무내용이 상세하게 기재됩니다.

2. 퇴사증명서를 발급받는 방법

  • 공공기관에서 발급받는 방법
    • 공공기관에서 근무하였던 자 또는 근무하고 있는 자가 경력사항을 증명 받을 때 혹은 퇴직할 때 신청하는 민원사무입니다. 현재 온라인 신청은 중앙부처(퇴직자) 및 지방자치단체 경력증명만 신청 가능합니다.
    • e-사람 독립망 운영기관(국방부, 방위사업청, 국세청, 경찰청, 대통령비서실, 대통령경호처)은 퇴직자 경력증명서를 온라인 신청할 수 없습니다. 해당 기관의 담당자에게 별도 요청하셔야 합니다.
    • 초.중.고교,교육청 재직 교육공무원은 [NEIS 에서 인터넷 발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 온라인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전자민원 -> 개인 민원을 클릭합니다.
      • 로그인을 합니다. 네이버 인증이나 카카오페이 로그인을 이용하면 공인인증서 없이도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 증명서 등 발급을 클릭합니다.
      • 재직(퇴직·경력)증명을 클릭합니다.
      • 개인정보 수집 및 사용, 고유 식별정보 수집 안내에 동의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 재직(퇴직·경력)증명서를 선택하고 발급받을 방식을 선택합니다. 프린터 발급, 팩스 전송, 전자증명서(PDF)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발급 용도를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 일반 기업에서 발급받는 방법
    • 일반 기업에서 퇴사증명서를 발급받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직접 발급받기 : 퇴사한 회사의 인사팀에 문의하여 발급을 진행합니다. 추가적인 항목 (임금, 지위, 사용용도)이 필요하다면 인사팀에 요청할 수 있습니다.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발급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는 퇴사한 사실을 확인하는 퇴직증명서와 동일한 효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무인민원발급기에서 쉽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본인 작성 : 퇴직증명서를 발급받기 어려운 경우, 직접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본인 작성의 경우에는 사용처에서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가능하면 공식적인 발급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인 작성 시에는 퇴사증명서 양식을 참고하여 필수적인 정보를 기재하고, 퇴사한 회사의 도장이나 서명을 받아야 합니다.
  • 퇴사증명서 청구기간과 법적 근거
    • 퇴사증명서는 근로자가 퇴사한 후 3년 이내에 발급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 기간이 지나면 발급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근로기준법 제43조에 따른 것입니다.
    • 근로기준법 제43조 (근로계약의 종료와 재직증명서 등)에는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① 고용주는 근로자가 근로계약을 해지한 때에는 그 근로자의 요구에 따라 재직기간, 직무, 임금 등에 관한 증명서를 지체 없이 발급하여야 한다.
② 고용주는 제1항의 증명서를 발급할 때 또는 근로자가 퇴직한 후 3년 이내에 그 근로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재직기간 중의 평정시간외근로, 휴일근로 및 야간근로에 관한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를 지체 없이 발급하여야 한다.

3. 퇴사증명서를 작성하는 방법

  • 퇴사증명서에 필수로 기재되는 사항
    • 퇴사증명서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필수로 기재되어야 합니다.
      • 증명서 제목 : 퇴사증명서라고 명시합니다.
      • 증명서 번호 : 증명서를 구분하기 위해 번호를 부여합니다.
      • 증명서 발급일 : 증명서를 발급한 날짜를 기재합니다.
      • 증명서 발급처 : 증명서를 발급한 회사의 명칭과 주소를 기재합니다.
      • 증명서 수령인 : 증명서를 수령하는 근로자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기재합니다.
      • 증명서 내용 : 근로자의 입사일자, 퇴사일자, 직책, 직무내용 등을 기재합니다.
      • 증명서 발급인 : 증명서를 발급한 고용주 또는 인사담당자의 성명과 직위를 기재하고 도장이나 서명을 합니다.
  • 퇴사증명서 양식 예시
  • 퇴사증명서 양식은 다음과 같은 예시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퇴 사 증 명 서

No. 2021-001

발 급 일 : 2021년 6월 30일

발 급 처 : (주)ABC

주 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23 ABC빌딩 10층

수 령 인 : 홍길동 (800101-1234567)

내 용 : 본인은 저희 회사에서 2019년 1월 1일부터 2021년 6월 30일까지 총 2년 6개월 동안 마케팅팀에서 대리로 근무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업무를 충실히 수행하였음을 증명합니다.

발 급 인 : (주)ABC 대표이사 김철수 (인)

  • 퇴사증명서 작성 시 주의할 점
    • 퇴사증명서 작성 시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 퇴사증명서는 공식적인 서류이므로 정확하고 객관적인 사실만을 기재해야 합니다. 퇴사사유나 업무능력에 대한 평가 등은 증명서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 퇴사증명서는 본인이 직접 작성하지 않고, 회사에서 발급해주는 것이 원칙입니다. 본인 작성의 경우에는 사용처에서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가능하면 공식적인 발급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퇴사증명서는 한글로 작성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영문으로 작성할 경우에는 영문 퇴사증명서 양식을 따라야 합니다. 영문 퇴사증명서에는 근무기간, 직책, 직무내용 등을 영어로 번역하여 기재하고, 회사의 도장이나 서명을 합니다.

4. 마무리

  • 퇴사증명서 발급 및 작성 요약
    • 퇴사증명서는 퇴사한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로, 새로운 직장을 구하거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을 때 필요합니다.
    • 퇴사증명서는 공공기관에서는 인터넷이나 전자민원으로, 일반 기업에서는 직접 발급받거나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를 이용하여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퇴사증명서를 작성할 때에는 필수적인 정보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기재하고, 회사의 도장이나 서명을 받아야 합니다.

이상으로 퇴사증명서 발급받기 쉽고 간편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퇴직 후에도 자신의 경력과 업무능력을 잘 보여줄 수 있는 퇴사증명서를 활용하여 새로운 기회를 잡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